주한미군/사진=구글
최근 워싱턴과 서울을 오가며 다시 고개를 든 ‘주한미군 철수론’은 언제나 그렇듯 정치적 파장을 동반한다. 그러나 정작 한국 땅에서 근무하는 미군 장병들에게 ‘철수’는 현실감이 떨어지는 단어다. 그들의 일상은 이미 ‘남고 싶은 근무지’, ‘정착형 기지’라는 표현에 가깝다.
현재 주한미군의 중심인 평택 캠프 험프리스는 장병들 사이에서 ‘드림 포스팅(Dream Posting)’이라 불린다. 서울 접근성이 좋고, 치안이 안정적이며, 병원·학교·상업시설이 본토 수준으로 갖춰져 있다.
이곳에서 근무하는 장병의 상당수는 가족을 동반한다. 자녀들은 미군 전용학교(DoDEA)뿐 아니라 국제학교, 한국 학교에도 진학할 수 있다. 미국 내 일부 기지보다 교육의 질이 높다는 평가도 있다.
한류와 글로벌 식문화, 24시간 운영되는 편의 인프라는 이들을 더 이상 ‘타지 주둔자’가 아닌 ‘거주자’로 만든다.
평택 캠프 험프리 미군 숙소/사진=구글
캠프 험프리스는 총 16조 원이 투입된, 미군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해외 기지다. 부지 면적은 1천460만㎡.
주거단지와 정비시설, 탄약고, 병원, 국제학교, 쇼핑몰, 심지어 미군 전용 철도선로까지 갖춰졌다.
오산·용산·의정부로 흩어져 있던 병참 체계와 교육기관이 한곳으로 통합되며 작전 효율성은 비약적으로 높아졌다. 병력 출동 대비 시간은 과거보다 30% 이상 단축됐고, 유지비용은 줄었다.
한미 양국은 과거 단독 숙영 중심의 ‘순환 배치 체계’에서 벗어나 가족 중심의 장기 주둔 체계로 전환했다.
캠프 험프리스 내에는 미군 가족 약 9천 명이 거주하며, 병원·학교·커뮤니티 시설이 복합적으로 운영된다.
한국 정부의 주둔비 부담이 컸지만, 그만큼 인프라 수준은 미 본토에 견줘도 손색이 없다.
이후 주한미군의 근무 만족도는 2010년대 대비 1.8배 상승했고, ‘귀국 대신 한국 잔류’를 선택한 장병도 늘고 있다.
2024년 미 육군 병사 만족도 조사에서 주한미군은 일본 요코타기지, 독일 람슈타인기지를 제치고 상위권을 기록했다.
한국은 높은 안전도, 의료 접근성, 문화 다양성에서 압도적인 점수를 받았다.
이 결과는 아이러니하게도 워싱턴에서 다시 들려오는 ‘철수론’의 현실적 한계를 보여준다.
현장은 이미 ‘정착’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주폴란드 미군/사진=구글
폴란드에는 ‘USAG Poland(미 육군 게리슨 폴란드)’ 가 존재한다. 이는 2023년 3월 21일에 공식 창설된 조직으로, 미국 육군이 폴란드 영토 내 주둔 기지를 직접 관리하는 최초의 ‘게리슨 단위’다.
USAG Poland는 주한미군의 USAG Humphreys(평택 기지) 와 같은 위상을 지니며, 단일 캠프가 아니라 여러 개의 캠프(포즈난, 드라브스코, 주간, 토룬, 루비크 등)에 흩어져 있는 미군 시설들을 통합 관리하는 행정 사령부다.
이 게리슨의 본부는 포즈난(Poznań) 의 캠프 코시우슈코(Camp Kościuszko) 에 위치하며, 이곳은 미 제5군단(V Corps) 전방사령부가 자리한 곳이기도 하다.
USAG Poland는 미 유럽사령부(USEUCOM)와 미 육군유럽·아프리카사령부(USAREUR-AF)에 직속되어, 나토 동부전선의 전략 거점으로 기능한다.
현재는 약 1만 명 규모의 미군 병력과 민간 직원, 계약업체 인력을 관리하며, 폴란드 내 병참·정비·훈련·인프라·가족지원 프로그램 등을 총괄하고 있다.
폴란드 정부는 이 게리슨 창설을 ‘역사적 전환점’으로 평가하며, 미국과 함께 장기 주둔 인프라 구축에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언급했던 ‘Fort Trump(트럼프 요새)’ 개념이 현실화된 셈이다.
조 바이든 행정부 역시 이 구상을 이어받아, 폴란드를 미군의 영구 상시 주둔(permanent presence) 국가로 지정했다.
정치권의 ‘철수론’은 여전히 반복되는 상징적 논쟁이다. 그러나 평택의 현실은 단순한 군사적 거점이 아니라, 거대한 복합 커뮤니티이자 ‘정착형 주둔 모델’이다.
폴란드처럼 안보 긴장이 지속되는 지역과 달리, 한국은 안정과 생활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몇 안 되는 이른바 꿀빠는 근무지로 변모했다.
미군 내부에서 “귀국보다 한국 근무가 낫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는 분명하다.
주한미군, 워싱턴은 철수를 말하지만, 그들은 남고 싶어한다 이것이 바로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