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메달/이미지=구글
스포츠 경기라면 온 국민이 분노했을 한일전 스코어가, 올해는 노벨상 전광판에 선명히 찍혔다. 일본 27명, 한국 0명. 일본은 1949년 이후 매년처럼 노벨 과학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한국은 여전히 ‘0’의 늪에 갇혀 있다.
겉보기에는 투자도, 통계도 일본과 다르지 않다. OECD R&D 통계에 따르면 일본은 전체 연구개발비의 12%를, 한국은 오히려 15%를 기초연구에 투입하고 있다. 금액으로도 한국은 연간 18조 원을 쏟아붓는다. 문제는 돈이 아니라 ‘태도’다.
한국 사회는 연구를 ‘성과 사업’으로, 학문을 ‘스펙 제조’로 만들어버렸다. 연구자는 실험보다 보고서에, 논문보다 평가표에 시달린다. 프로젝트는 2~3년 단위로 잘려 나가고, 연구비는 단기 실적이 없으면 끊긴다. 일본이 반세기 넘게 한 명의 과학자에게 ‘평생 연구할 권리’를 줬다면, 한국은 박사조차 계약직으로 내몬다. 이 나라의 연구자는 실험보다 생존을 고민한다.
기초과학의 뿌리가 자라지 못하는 또 다른 이유는 대학과 기업의 구조적 탐욕이다. 대학은 학문보다 의전원 입시 실적을 중시하고, 교수는 제자보다 연구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가깝다. 기업은 단기 주가에만 매달리며 ‘R&D’ 대신 ‘MKT(마케팅)’을 외친다. 청년들은 과학자가 아닌 공무원, 의사, 대기업 입사를 꿈꾼다. 그 결과, 연구실은 비고, 실험대 위엔 먼지가 쌓인다.
노벨상은 한 개인의 영광이 아니라 사회의 거울이다. 일본이 1970년대부터 자율과 신뢰로 연구 생태계를 키워온 반면, 한국은 지금도 연구자의 시간을 통계와 평가로 쪼개고 있다. 기초연구 예산을 깎고, 연구자를 비정규직으로 내몰고, 대학을 입시 공장으로 만든 사회가 어떻게 ‘발견과 혁신’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한국이 노벨상을 받지 못한 이유는 단순하다. 연구자가 아니라 ‘성공한 사람’을 길러왔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