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유방암 인식 개선’ 명분 퇴색한 W코리아 자선행사…연예인 파티로 전락
  • 편집국
  • 등록 2025-10-16 19:27:32

기사수정

W코리아 자선 행사에 참석한 뷔와 카리나/사진=W코리아 인스타그램 갈무리국내 여성 패션 잡지 W코리아가 매년 주최하는 자선 행사 *‘러브 유어 더블유(Love Your W)’*가 올해도 ‘유방암 인식 개선’이라는 본래 취지에서 벗어났다는 비판에 휩싸였다. 사회적 공익보다 ‘유명인들의 사교 행사’로 변질됐다는 지적이다.


지난 15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BTS 뷔, 에스파 카리나, 아이브 장원영 등 다수의 유명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이 참석했다. W코리아는 매년 이 행사를 통해 ‘유방암 조기 검진의 중요성’을 알리고, 수익금 일부를 한국유방건강재단에 기부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온라인을 중심으로는 “유방암 인식 개선과 연예인 친목 파티가 무슨 상관이냐”는 비판이 잇따랐다. 행사장에서는 술잔을 들고 대화를 나누거나 음악 공연을 즐기는 장면이 다수 포착됐다. W코리아 공식 계정에 올라온 영상에도 이러한 장면이 포함되었다가 비판 여론이 커지자 일부 삭제됐다.

특히 가수 박재범이 ‘몸매’라는 곡을 공연한 장면이 논란을 키웠다. “니 가슴에 달려있는 자매 쌍둥이”라는 가사로 인해 유방암 인식 행사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W코리아는 해당 영상을 20분 만에 삭제했다. 박재범은 “불쾌감을 느꼈다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15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W코리아의 '유방암 인식 개선 자선행사' 도중 BTS 멤버 RM(왼쪽 맨앞)과 에스파 멤버 윈터(오른쪽 맨 앞)가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다/사진=W코리아 인스타그램 갈무리W코리아는 “행사를 통해 한국유방건강재단에 누적 11억 원을 기부했다”고 밝혔지만, 20년간의 규모를 고려할 때 기부금이 미미하다는 지적도 있다. 한 누리꾼은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핑크런’은 누적 42억 원을 모았는데, W코리아는 수많은 셀럽이 참여하면서도 기부금이 훨씬 적다”며 “유방암을 빌미로 한 이미지 이벤트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공익 캠페인은 연예인 참여보다 메시지 전달력과 실질적 지원 규모가 중요하다”며 “지속적인 기부와 교육, 환자 지원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행사의 상징성은 오래가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결국, W코리아의 ‘러브 유어 더블유’는 다시 한번 ‘화려한 조명 뒤의 진정성’ 논란을 남겼다. 유방암 인식 개선이라는 이름 아래 열린 이 행사가 향후 진정한 사회적 가치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살며 살며’, 홍정애 작가의 따뜻한 출판기념회로 새로운 출발을 알리다 지난 11일, 충북 음성에서 열린 홍정애 작가의 ‘살며 살며’ 출판기념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이날 출판기념회는 작가의 첫 번째 산문집 ‘살며 살며’를 기념하는 자리로, 많은 팬들과 독자들이 참석해 작가와의 소통을 이어갔다.행사는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역말풀갤러리에서 열렸으며, 작가의 진심이 담긴 인사말과 함...
  2. 한류문화관광총연합회, 필리핀 세부 ‘시눌룩 축제’와 MOU 체결 한류문화관광총연합회(회장 장한식)가 2026년 필리핀 대표축제인 ‘세부 시눌룩(Sinulog) 축제’와 문화 교류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 전통공연단이 축제 공식 무대에 오르며, 한류문화의 세계적 확산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시눌룩 축제는 매년 1월 셋째 주 필리핀 세부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문화행사로, 아기 ...
  3. [스포츠 속으로] 한국야구의 황금세대는 왜 다시 오지 않는가 1990년대 초, 한국 야구는 천재 투수들의 시대였다. 조성민, 임선동, 박찬호, 정민철, 손경수, 염종석, 차명주.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뛰던 세대였다. 140km 직구가 고속구로 불리던 시절, 이들은 이미 150km를 던졌다. 투구 밸런스, 제구, 구위 어느 하나 부족함이 없었다. 고교 대회는 관중으로 가득했고, 대학야구는 방송 중계의 주역이었다. 젊은...
  4. 한국, 1인당 라면 소비 세계 2위…베트남이 1위 차지 한국이 지난해 1인당 79개의 라면을 소비하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라면을 많이 먹는 나라로 나타났다.세계인스턴트라면협회(WINA)에 따르면 1인당 라면 소비 1위는 81개를 기록한 베트남이 차지했다.베트남과 한국에 이어 태국(57개), 네팔(54개), 인도네시아(52개), 일본(47개), 말레이시아(47개), 대만(40개), 필리핀(39개), 중국(홍콩 포함·31개) ...
  5. 먹방, 이제 그만 좀 합시다! 한때 ‘국민 힐링 콘텐츠’로 불리던 먹방이 이제는 대중의 피로와 냉소를 동시에 사고 있다. KT ENA가 인기 유튜버 쯔양을 앞세워 내놓은 예능 ‘어디로 튈지 몰라’가 대표적이다. 첫 방송 시청률은 0.7%였지만 2회 0.5%, 3회 0.3%까지 떨어졌다. 사실상 시청률이 사라진 셈이다.수천만 구독자를 거느린 먹방 유튜버가 등장해도 시청.
  6. 프랜차이즈 외식업계의 산증인, 투다리 창업주 김진학 회장 별세 1987년 ‘제물포 작은 꼬치구이’에서 시작해 30년 외식 프랜차이즈 역사의 상징이었던 투다리의 창업주 김진학(향년 78세) 이원 그룹 회장이 지난 6일 오후 8시 41분 인천 한 병원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고 회사 측이 8일 밝혔다.전남 진도 출신인 고인은 목포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포항제철 근무를 거쳐, 35세 때 7급 공무원 시험에 합...
  7. 김정훈, 6년 만의 국내 복귀 상류층 빌라를 무대로 얽히고설킨 부부들의 비밀과 불륜, 감시, 복수를 다루는 드라마 ‘부부 스캔들: 판도라의 비밀’(가칭)에 가수 겸 배우 김정훈이 합류한다. 김정훈은 심리상담사이자 관찰자인 ‘우진’ 역을 맡으며, 2019년 사생활 논란 이후 중단했던 국내 활동을 재개한다.UN 출신 아이돌에서 배우로김정훈은 2000년 듀오 &l...
  8. 주한미군, 워싱턴은 철수를 말하지만, 그들은 남고 싶다. 최근 워싱턴과 서울을 오가며 다시 고개를 든 ‘주한미군 철수론’은 언제나 그렇듯 정치적 파장을 동반한다. 그러나 정작 한국 땅에서 근무하는 미군 장병들에게 ‘철수’는 현실감이 떨어지는 단어다. 그들의 일상은 이미 ‘남고 싶은 근무지’, ‘정착형 기지’라는 표현에 가깝다.평택, 미군이 말하는 ‘드림...
  9. 노벨상 전광판에 뜬 ‘한일전 스코어 27:0’… 기초과학이 아닌 ‘스펙’에 투자한 사회의 결과 스포츠 경기라면 온 국민이 분노했을 한일전 스코어가, 올해는 노벨상 전광판에 선명히 찍혔다. 일본 27명, 한국 0명. 일본은 1949년 이후 매년처럼 노벨 과학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한국은 여전히 ‘0’의 늪에 갇혀 있다.겉보기에는 투자도, 통계도 일본과 다르지 않다. OECD R&D 통계에 따르면 일본은 전체 연구개발비의 12%를, 한...
  10. 환절기, 왜 유난히 머리카락이 많이 빠질까 기온이 급격히 변하는 환절기에는 머리카락이 평소보다 많이 빠진다고 느끼는 이들이 많다. 머리를 감거나 말릴 때, 빗질할 때마다 손에 잡히는 머리카락이 늘어나며 단순히 계절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신체 변화와 관련된 생리학적 원인이 있다.기온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몸은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이 과정에서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