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구글
고관절골절은 고령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외상성 질환으로, 일상적인 가벼운 낙상이나 부딪힘만으로도 쉽게 생길 수 있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의 경우 충격이 약해도 골절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이 부상은 대퇴골 상부, 즉 대퇴경부나 대퇴전자 부위에서 주로 발생한다. 해당 부위는 체중을 지탱하고 움직임을 담당하는 핵심 부위이므로 손상 시 독립적인 보행이 어려워지고, 폐렴·욕창·혈전 등 2차 합병증 위험도 커진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다리 움직임이 힘들 정도의 통증, 다리 길이의 비대칭, 다리의 외회전 등이 있다. 겉으로 상처나 멍이 없더라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보행이 힘들다면 반드시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
고관절골절은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는 회복이 어렵다. 진단은 X-ray, CT, MRI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태에 따라 인공관절 치환술이나 금속 내고정술 등이 시행된다. 수술 후에는 조기 재활이 합병증 예방과 회복 속도에 결정적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골다공증 관리, 낙상 위험 요소 제거, 균형 잡힌 영양 섭취, 규칙적인 근력 운동이 필수다. 작은 부주의가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생활 속 안전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