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구글전 세계적으로 모기 매개 바이러스 감염병인 ‘치쿤구니야열(Chikungunya fever)’이 확산되며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질병관리청은 7월 29일 임승관 청장 주재로 긴급 회의를 열고, 중국과 브라질 등 주요 유행 지역의 상황을 공유하고 국내 유입 차단 대책을 논의했다.
치쿤구니야열은 제3급 법정 감염병으로,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 또는 국내에도 서식하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를 통해 전파된다. 평균 잠복기는 1~12일이며, 갑작스러운 고열과 함께 관절통, 근육통, 발진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이름은 1952년 탄자니아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관절통으로 몸을 구부린 환자의 자세에서 유래됐다.
이 질환은 뎅기열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중증으로 빠르게 진행되지는 않는다. 치사율은 1% 미만이지만, 증상이 수주 이상 지속될 수 있어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백신이나 치료제는 없어, 감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2013년 첫 감염 사례가 보고된 이후 올해 7월까지 총 71명이 발생했다. 이들은 모두 해외에서 감염돼 유입된 사례로, 주요 감염 국가는 태국(19명), 인도(12명), 인도네시아(9명), 미얀마·필리핀(각 7명)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이다. 질병청은 “현재까지 국내 흰줄숲모기에서는 바이러스가 검출된 사례가 없으며, 최근 6월 채집한 636마리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매개 모기의 서식지가 북상하면서 국내 유입 및 국지적 전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질병청 대변인은 “치쿤구니야열은 사람 간 직접 전파는 없지만, 드물게 수혈이나 모자 간 감염 등으로 전파될 수 있고, 일부 환자에게는 신경계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어 기저질환자와 고령층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계적으로는 7월 초 기준 14개국에서 약 22만 명의 감염 사례가 보고됐고, 이 중 80명이 사망했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를 비롯해 인도양 지역인 레위니옹, 마요트, 모리셔스에서도 유행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중국 광둥성에서는 최근 일주일 사이 2940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면서 누적 4824명에 달해 방역 당국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질병청은 중국 광둥성,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을 검역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고, 해당 지역 입국자에 대한 집중 감시에 나설 방침이다. 또한 여름철 해외여행객들에게는 여행 전 감염병 발생 현황을 확인하고, 모기 기피제·모기장·밝은색 긴 옷 등을 통해 예방 조치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외출 시 3~4시간 간격으로 기피제를 바르고,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질병청 관계자는 “기후 변화로 전 세계 감염병 양상이 급변하고 있다”며 “국내 유입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대응 체계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