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구글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증상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근육통이나 피로로 여기기보다는, 신경이 눌리는 척추 질환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5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척추관협착증’은 시기를 놓치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이다.
이 질환은 척추 내부의 신경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며, 그 안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해 통증과 감각 이상을 유발한다. 노화로 인해 척추 인대가 두꺼워지고, 뼈 돌기가 생기거나 디스크가 돌출되며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증상은 단순한 허리 통증을 넘어서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심지어 발끝까지 저리고 당기는 느낌이 이어지기도 한다.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는 ‘간헐적 파행’이다. 일정 거리 이상을 걷다 보면 다리에 저림이나 통증이 발생해 멈춰서야 하며, 앉거나 휴식을 취하면 다시 걸을 수 있게 되는 패턴이 반복된다. 하지만 질환이 진행되면 걷는 거리 자체가 점점 짧아지고, 결국 몇 걸음도 힘든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자주 허리디스크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발생 양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허리디스크는 디스크 내부의 수핵이 탈출하면서 갑작스러운 통증을 유발하는 데 비해, 척추관협착증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며 만성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두 질환을 명확히 구분하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진단은 보통 X선 검사로 척추의 구조를 확인한 뒤, MRI나 CT로 신경 압박 여부와 주위 조직의 상태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환자의 증상 정도와 삶의 질 저하 수준에 따라 맞춤형 치료가 결정된다.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주사치료(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 등)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통증이 지속되거나 보행이 어려워질 정도로 악화된 경우,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침습 수술이나 신경 감압술, 디스크 제거술, 척추 유합술 등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술 기술이 발달하면서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도 비교적 안전하게 수술을 받을 수 있어, 단순히 ‘나이가 많아서’ 치료를 미루기보다는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 적절한 치료 시점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척추관협착증은 자연적으로 좋아지기 어렵고, 방치할 경우 신경 손상이 영구화될 수 있다"며 "초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신경외과 전문의를 찾아 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통증을 줄이고 삶의 질을 지키는 길"이라고 조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