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구글
중장년층 이상 남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전립선비대증은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비뇨기 질환 중 하나다. 배뇨 시 힘이 들거나 소변 줄기가 가늘어지는 증상뿐 아니라, 절박뇨와 야간뇨로 인해 숙면이 방해받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이 단순한 노화 현상으로 여겨지거나, 수술에 대한 두려움으로 병원을 찾지 않는 이들이 많아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잦다.
최근에는 절개 없이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할 수 있는 ‘리줌(Rezum) 시술’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시술은 수면마취 하에 특수 내시경을 이용해 요도를 통해 전립선 조직에 수증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수증기의 열 에너지가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에 작용해 세포를 변성시키고, 이후 조직이 자연스럽게 줄어들면서 증상이 완화된다.
리줌 시술은 평균 10분 이내로 비교적 짧게 진행되며, 절개 없이 조직을 간접적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체력적 부담이 적다. 일정 기간의 회복 기간은 필요하지만, 대부분 환자들이 빠르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어 고령자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도 적용 가능한 유연한 치료법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이 시술은 전립선 중 요도를 압박하는 부위만 국소적으로 줄여주기 때문에, 배뇨 기능 등 기존 기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뇨 기능 변화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큰 환자들에게도 거부감이 적어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다만 모든 전립선비대증 환자에게 리줌 시술이 적합한 것은 아니다. 전립선의 크기, 해부학적 구조, 증상의 진행 정도에 따라 시술 여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전립선 초음파, 요속 측정, 배뇨 기능 검사 등 정밀 검사를 통해 적합성을 평가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치료 계획이 수립된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중장년 남성의 삶의 질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