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사옥/사진=구글
GC녹십자가 태국 정부와 역대 최대 규모의 독감백신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백신 시장에서 확고한 존재감을 다시 한 번 각인시켰다. 단순한 수출 이상의 의미를 담은 이번 성과는, 국내 제약사가 세계 백신 시장에서 장기적인 신뢰와 품질로 경쟁력을 키워가는 대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태국은 독감백신 업계에서 독특한 위상을 지닌 국가다. 남반구와 북반구의 특성을 모두 갖춘 지리적 조건 덕분에, 세계보건기구(WHO)의 독감백신 접종 지침을 연중 내내 적용받는다. 이러한 환경은 백신 수요가 계절적이지 않고 꾸준하게 발생하는 구조로, 업계에서는 태국을 ‘백신 수출의 기회의 땅’으로 불러왔다.
GC녹십자는 이번에 태국 국영 제약사 GPO(Government Pharmaceutical Organization)와 질병통제국(DDC)이 주관한 입찰을 모두 따내며, 총 594만 도즈 규모의 독감백신을 공급하게 됐다. 이는 2014년 태국 시장에 첫 발을 들인 이후 최대 물량이다. 민간 부문 수요까지 포함하면, GC녹십자의 현지 누적 수출량은 곧 1,500만 도즈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성과는 단발성 수주가 아니다. GC녹십자는 10년 가까운 시간 동안 현지에서 꾸준히 신뢰를 쌓아왔으며, 지난해 대비 민간 시장 물량이 112% 증가한 점은 그간의 노력과 품질이 인정받았다는 방증이다.
GC녹십자의 독감백신 브랜드 ‘지씨플루(GCFLU)’는 현재 전 세계 63개국에 수출 중이며, WHO 산하 국제기구를 통해서도 가장 많은 물량을 공급하고 있다. 누적 생산량은 3억 도즈를 넘어섰으며, GCFLU는 이제 글로벌 시장에서 통용되는 백신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GC녹십자 이우진 글로벌사업본부장은 “식약처의 국가출하승인 일정 단축 등 행정적 지원도 큰 역할을 했다”며, 이번 수주가 정부와 기업 간 긴밀한 협력의 결과임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태국 수주를 GC녹십자의 글로벌 전략 전환점으로 평가한다. 단순히 국제기구를 통한 수출을 넘어서, 이제는 개별 국가 시장에서도 직접 경쟁력을 입증하며 입지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남아 시장은 물론, 향후 남미와 중동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도 기대된다.
GC녹십자의 글로벌 확장은 이제 시작이다. 한국 백신 기술력의 저력을 바탕으로, 세계 백신 시장의 판도를 흔드는 ‘게임 체인저’로의 도약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