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부산백병원
대장내시경이나 조직검사에 의존하던 염증성 장 질환(IBD) 진단이 혈액 속 분자 분석을 통해 더욱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뤄질 가능성이 제시됐다.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이홍섭 교수 연구팀은 최근 혈액 속 분자 특성을 분석하여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을 구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크론병 환자 18명과 궤양성 대장염 환자 57명의 혈청을 분석한 결과, 만성 염증, 인지질, 담즙산 대사 등의 차이를 통해 두 질환을 구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후보군을 제시했다.
특히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경우 결합 담즙산 수치가 높고 인지질 조성에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대변 내 염증 지표인 칼프로텍틴 수치와의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 높은 칼프로텍틴 수치는 염증 관련 단백질과 스핑고미엘린 증가, 담즙산 및 아미노산 감소 등의 특징을 보였다. 이를 통해 질환의 ‘활동기’와 ‘관해기’를 분자 수준에서 구분할 가능성이 열렸다.
이번 연구는 치료 중인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돼 임상 적용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연구 결과는 염증성 장 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홍섭 교수는 “이번 연구는 염증성 장 질환의 복잡한 분자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간 성과”라며 “향후 대규모 연구를 통해 개인 맞춤 치료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약물 및 생물의학 분야의 SCIE급 국제학술지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