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구글
허리둘레를 줄이는 것이 위암, 간암, 유방암 등 비만과 연관된 암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체질량지수(BMI)보다 허리둘레가 비만 관련 암 발병 위험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대규모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25일 의료계에 따르면, 유럽비만연구협회(EASO)는 스웨덴 룬드 대학의 요제프 프리츠 교수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 연구는 약 33만9000명을 대상으로 14년에 걸쳐 추적 조사한 것으로, 오는 5월 11일부터 14일까지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리는 유럽비만학회(ECO 2025)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해당 연구는 미국 국립암연구소 저널(JNCI)에도 게재될 계획이다.
연구팀은 평균 연령 51.5세인 스웨덴인 33만9190명을 대상으로 1981년부터 2019년까지 수집된 허리둘레와 BMI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와 함께 스웨덴 국립 암 등록부의 기록을 활용해 비만 관련 암 발병 위험을 조사했다. 분석 과정에서는 나이, 흡연 여부, 교육 수준, 소득, 출생국, 결혼 여부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 허리둘레와 BMI의 상대적 위험도를 계산했다.
비만 관련 암에는 위암, 식도암, 결장암, 직장암, 담낭암, 췌장암, 갑상선암 등이 포함됐다. 연구 기간 동안 총 1만8185건의 비만 관련 암이 발생했으며, 허리둘레와 BMI 모두 암 발병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허리둘레가 10.8㎝ 증가할 때 비만 관련 암 발병 위험이 25% 상승한 반면, BMI가 3.8㎏/㎡ 증가할 경우 발병 위험은 19% 상승했다. 여성은 허리둘레가 11.8㎝ 늘어나거나 BMI가 4.3㎏/㎡ 증가할 때 각각 13%씩 발병 위험이 높아졌다. 이는 복부 장기 주변에 내장 지방이 많을수록 암 발병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특히 남성의 경우 내장 지방 축적이 더 강력한 암 발병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를 이끈 프리츠 교수는 “복부 내장 지방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남성에게 특히 더 강하게 나타난다”며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정밀한 체지방 측정과 잠재적 교란 요인을 통합해 체지방 분포와 암 발병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허리둘레 관리가 단순히 외형적인 문제가 아니라 건강 유지와 암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