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구글
최근 조사에 따르면 간호사, 경찰, 소방공무원, 경비원, 배송업체 직원 등 교대 근무를 하는 직군의 3명 중 1명이 수면장애 위험군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도 교대 근무를 2A군 발암물질로 분류하며 그 위험성을 강조한 바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수면센터 연구팀(신원철·변정익 교수)은 교대 근무자 6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32.2%가 교대 근무 수면장애 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고령이거나 여성인 경우, 불면증, 주간 졸림증, 우울증 점수가 높은 경우 더욱 큰 위험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원철 교수는 "교대 주기가 1개월 이내로 자주 변경될 경우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수면 장애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근무 스케줄 조정과 수면 환경 개선을 제안했다. 특히 교대 근무의 순서를 오전-오후-야간 순으로 배치하면 생체 리듬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또한, 야근 시 조도를 높여 LED나 OLED를 활용해 몸이 밤을 낮처럼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전문가들은 건강한 수면을 위해 '수면 위생 습관'을 지킬 것을 강조하고 있다. 쾌적한 수면 환경을 유지하고, 술, 담배, 커피, 스마트폰 사용 등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피하는 것이 좋다. 개인적인 노력도 필요하며, 매일 7~8시간의 수면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취침 1시간 전에는 멜라토닌 보충제나 트립토판이 풍부한 음식(바나나, 견과류, 우유 등)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잠을 제때 자지 못해 생체 리듬이 교란되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위험이 커진다. 신 교수는 "수면 부족은 심혈관 질환 및 뇌 질환 위험을 2~3배 증가시키며, 불안 장애와 같은 정신 건강 문제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일상에서 작은 생활 습관의 변화가 더 나은 수면과 건강을 가져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