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최종현 학술원“제 연구의 원동력은 꾸준함입니다. 천문학에 관심 많았던 아마추어였지만 우연히 들어간 생물학 연구실에서 트레이닝을 받으며 저의 꾸준함이 자신감으로 발전했고, 이는 제 역량이 되어 결과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만족감을 느끼며 연구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이크로RNA(miRNA)’ 발견과 유전자 제어 역할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빅터 앰브로스 미국 매사추세츠 의대 교수가 한국 학생들을 만나기 위해 방한했다.
7일 최종현학술원(이사장 최태원 SK 회장)은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빌딩에서 고등학생, 대학생 및 대학원생 200여 명을 대상으로 빅터 앰브로스 교수의 초청 강연을 열었다고 밝혔다. ‘동물 발달을 제어하는 유전자와 분자 메커니즘 (Genes and Molecular Mechanisms Controlling Animal Development)’을 주제로 한 이번 강연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생명과학자인 이준호 서울대 교수가 사회자로 참여하여 앰브로스 교수의 연구 업적과 성장 과정, 마이크로RNA의 진화적 의미와 생명과학 분야의 도전과제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빅터 앰브로스 교수는 1993년 예쁜꼬마선충(C. elegans)에서 마이크로RNA를 처음 발견하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의 연구를 기반으로 선충뿐만 아니라 인간을 비롯한 많은 동물에서 마이크로RNA가 세포 발생, 생장, 노화 등 생명 현상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2024년 노벨위원회는 “마이크로RNA 발견은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패러다임을 바꿨다”고 생리의학상 수상자 선정 배경을 밝힌 바 있다. 과학계에선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마이크로RNA 기능이 암세포 증식, 면역 반응 등 여러 질병 관련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활용한 치료법 개발에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겸 한국고등교육재단 대표는 개회사에서 “최종현학술원과 뿌리를 공유하는 한국고등교육재단은 ‘The Way to Stockholm’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우수한 학생들이 노벨상 시상식 주간을 현장에서 체험하고, 세계 최고 석학들의 업적과 자세를 탐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최종현학술원에서는 오늘과 같은 자리를 통해 차세대 리더들이 세계 지성들과 직접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