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구글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이하 단통법) 폐지에 따라 국내 통신사들의 매출과 수익 전망이 큰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단통법은 2014년 도입되어 이동통신사들의 단말기 보조금을 규제함으로써 시장의 과열 경쟁을 방지하고자 했으나, 소비자들의 단말기 구매 부담을 높인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번 단통법 폐지로 인해 이동통신사들은 보조금을 자유롭게 책정할 수 있게 되면서, 경쟁적으로 보조금을 확대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보조금 확대는 신규 단말기 판매 촉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교체 주기가 단축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수익성 악화 우려가 제기된다. 과도한 보조금 경쟁은 단말기 판매로 인한 수익 증대보다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저가 요금제 이용자들이 보조금 혜택을 크게 받을 경우, 고가 요금제 중심의 수익 모델이 흔들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은 요금제 개편과 함께 부가서비스 강화, 5G 및 6G 네트워크 투자 등을 통한 수익 다변화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단통법 폐지로 인한 초기 매출 증가는 긍정적이나, 장기적으로는 비용 증가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앞으로 통신사들의 전략 변화와 수익성 유지 방안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