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구글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로 국가 전반이 혼란스러운 가운데, 의료계는 내년도 심각한 의료 인력난이 예상되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한병원협회 홍보위원회는 6일 제3차 홍보위원회를 열고 현재 비상계엄 사태와 더불어 2024년 의료 인력 수급 문제를 주요 안건으로 논의했다.
고도일 홍보위원장(대한병원협회 부회장)은 “올해 병원계는 의사와 정부 간 갈등이 장기화되며 매우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면서 “내년에는 전문의 등 필수 의료 인력의 부족 문제가 병원계에 가장 큰 도전 과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도 전문의 자격시험 응시자는 566명으로 집계되어 올해의 2782명 대비 80% 이상 감소했다. 이는 지난 2월 대규모 전공의 사직 사태 이후 전문의 배출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진 결과다.
특히 내과의 경우, 매년 약 600명의 전문의를 배출해왔으나 내년도 응시자는 106명에 그쳤다. 전원이 합격한다고 해도 기존 대비 약 1/6 수준으로 감소하게 된다.
다른 필수 진료과목도 상황은 비슷하다. 외과 18명, 산부인과 13명, 소아청소년과 24명, 응급의학과 30명 등으로 응시자 전원이 합격하더라도 의료 공백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다.
지방의 한 수련병원 보직자는 “내년도 전문의가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의료 현장에서의 정체와 의료 서비스 축소를 의미한다”며 “현재는 기존 전문의 및 펠로우를 붙잡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전문의 부족이 길어지면 필수 의료 분야의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국가 차원의 긴급 대책이 시급하지만, 계엄령으로 인해 상황이 더욱 혼란스러워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한병원협회는 필수 의료 인력의 부족 사태가 국가 의료체계 전반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며, 의료 이용에 대한 국민적 인식 개선과 더불어 정부 차원의 긴급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고도일 홍보위원장은 “의료체계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정부와 의료계가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한다”며 “국가적 차원의 장기적인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전문의 대폭 감소로 인한 의료 공백이 현실화되면 필수 의료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을 수 있어, 의료계와 정부 간 협력을 통한 신속한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