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대한성형외과학회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당장 내년으로 다가온 배출 전공의 수 부족 문제에 대한 해법을 촉구했다. 내년 성형외과에서 배출될 신규 전문의 수가 한 자리 수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필수의료 영역인 재건수술 분야의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대한성형외과학회는 19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법을 촉구했다.
2024년 3월 임용 예정인 성형외과 전공의는 292명에 달하지만, 9월 30일 기준으로 사직자는 259명에 이른다. 현재 수련병원에 소속된 전공의는 33명이며, 수료 예정인 연차 전공의는 12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들 중에서도 추가 사직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 내년도 총 배출 전문의 수는 한 자리 수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김태곤 홍보이사는 "전국 성형외과 전공의 중 12명을 제외한 모든 전공의가 사직해 문제가 심각하다"며 "전문의와 지도전문의 부족이 전공의 수련 부실 및 전문의 수급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사직한 전공의가 2025년 3월 복귀할 가능성도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이러한 인력 부족은 필수의료인 재건수술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김 이사는 "재건성형을 위한 전문의가 부족해지면 지방 교수들의 수도권 이직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며 "재건수술은 소아 두개안면기형, 하지 재건, 유방암 환자를 위한 유방 재건 등 필수 의료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년도 동일 수련병원, 동일 연차로 복귀를 허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업무 연장을 가능하게 해 전문의 수 부족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성형외과학회는 필수의료 지원 기피현상과 일반의 개원 증가, 전문의들의 진료 기피 현상 등 의료계 고질병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문의들의 차별화를 고려하고 있다. 장학 이사장은 "미용성형 의료의 자체 관리를 강화하고 윤리조항을 강화하여 부작용 및 후유증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기자간담회에서는 성형외과가 필수의료로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과 재건수술 분야에서 전문의 부족이 초래할 위험성을 강조하며, 정부와 의료계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성형외과학회의 이러한 노력은 필수 의료 분야에서 재건성형 전문의를 확보하고,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