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협 비대위 조주신 위원장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2025년에도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대한 반대 투쟁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의료계 간 갈등이 장기화될 전망이다.15일 서울에서 열린 의대협 확대전체학생대표자총회에서 전국 40개 의대 대표 270여 명은 2025년에도 대정부 투쟁을 지속하기로 압도적 다수로 의결했다.
의결권자 269명 중 267명이 찬성표를 던졌다.의대협 비대위 조주신 위원장은 "정부의 비과학적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의 독단적 추진을 의료 개악으로 규정한다"며 "이를 저지하고자 의대협의 8대 대정부 요구안 관철을 위한 투쟁을 2025학년도에 진행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의대협이 제시한 8대 요구안에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및 증원 전면 백지화 △의정합의체 구성으로 과학적 분석과 사태 해결 △의료정책 졸속 추진 조사 후 대국민 사과 등이 포함됐다.특히 의대협은 여야의정협의체 참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이미 결론이 정해진 협의체라는 판단에서다.
이번 결정으로 정부가 기대했던 2025년 3월 의대생들의 복귀는 사실상 어려워졌다. 의대협은 2025학년도 신입생들의 투쟁 참여는 자율에 맡기기로 했지만, 현재 의학교육의 붕괴로 교육 자체가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한편, 이번 의대생들의 결정은 최근 출범한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의 향후 행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의협 비대위 박형욱 위원장은 당선 직후 "그동안 소외돼 왔던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견해가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의료계 관계자는 "의대생들의 강경한 입장이 확인된 만큼 정부와 의료계 간 협상이 더욱 복잡해질 것"이라며 "양측의 입장 차를 좁히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