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대한비만학회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사망률을 근거로 체질량지수(BMI) 기준 비만 진단기준을 현행 25kg/m²에서 27kg/m²로 상향하는 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이에 대해 대한비만학회가 우려를 표명하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건보공단 산하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2024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연구에서 BMI 25kg/m²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아 기준을 27kg/m²로 상향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한비만학회는 13일 성명서를 통해 비만의 진단기준은 사망률보다는 비만에 동반되는 질환 발생 위험을 근거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강조했다.
학회에 따르면, BMI 25kg/m² 이상에서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하며, 암과 같은 주요 질병의 발생률도 BMI가 높아질수록 뚜렷하게 상승한다. 학회는 "사망률만을 기준으로 진단기준을 설정할 경우, 비만으로 인한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하며 "현재의 기준이 공공의 건강을 보호하기에 더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대한비만학회는 2024년 발간된 ‘비만병 팩트시트’를 인용해 BMI와 사망위험 간의 관계가 U자형 곡선을 그린다고 밝혔다. 정상체중에 비해 과체중 및 1단계 비만(BMI 25~29.9kg/m²) 구간에서 사망위험은 낮지만, 만성질환 발생 위험은 비만전단계인 BMI 25 이상에서부터 증가한다고 학회는 설명했다. 특히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은 정상체중 대비 비만전단계에서 1.55배, 1단계 비만에서는 2.4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는 또한 20~50대 연령층에서 비만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에도 주목했다. 이 연령층은 향후 질환 발생 시 사회경제적 부담이 크고, 만성질환 발생 위험이 고령층보다 높다는 점에서 비만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학회는 "비만의 진단 목적은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에 있다"며, BMI 기준을 현행대로 유지할 것을 촉구했다.
유럽비만학회의 사례도 언급됐다. 학회에 따르면, 유럽은 BMI 25kg/m² 이상이면서 허리둘레-신장 비율이 0.5를 초과하거나 동반질환이 있을 경우 비만으로 진단하는 가이드라인을 채택했다. 이는 BMI 27kg/m² 기준을 제시하는 것보다 조기에 필요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대한비만학회는 "비만 진단기준을 상향하는 것은 오히려 만성질환 예방과 국민 건강 증진 목표에 역행할 수 있다"며, 비만 진단기준 상향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함을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