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구글
20~30대 청년 당뇨병 환자의 치료율과 인지율이 노년층에 비해 현저히 낮아,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당뇨병 인식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대한당뇨병학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청년당뇨병 및 노인당뇨병 환자의 현황을 분석하며 이러한 문제를 지적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19세 이상 성인 중 19~39세 청년 당뇨병 환자는 약 30만 명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들 중 43.3%만이 본인의 당뇨병을 인지하고 있었고, 치료율은 34.6%에 불과해 약 10명 중 3명만이 당뇨병약제를 통해 치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노인 당뇨병 환자는 78.8%가 질환을 인지하고 75.7%가 치료 중이었다.
당뇨병 조절률 또한 청년층에서 낮게 나타났다. 당화혈색소 기준 6.5% 이하로 혈당을 유지하는 비율이 청년 당뇨병 환자 중 29.6%에 그쳤다. 특히, 20대 청년의 경우 인지율이 27.1%, 치료율이 16.5%에 그쳐 더욱 심각한 수준이었다.
성별에 따른 혈당 조절율 차이도 확인됐다. 20대 남성의 당뇨병 조절률은 35.1%로 여성(14.8%)보다 높았으나, 30대에서는 여성의 조절률이 41%로 남성(25.6%)을 앞질렀다.
또한, 청년 당뇨병 환자의 87%가 비만으로 분류되었으며, 복부 비만율 역시 남성이 88.8%, 여성이 75.5%로 나타났다. 비만은 당뇨병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청년층의 건강 유지에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한당뇨병학회 차봉수 이사장은 "청년층에서는 당뇨병 합병증 발병 위험이 높다"며 "젊다고 건강을 과신해서는 안 되며, 당뇨병 인식 개선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