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서린사옥 전경
SK텔레콤(SKT)과 SK온이 비용 절감과 경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각각 퇴직 격려금 인상과 희망퇴직을 시행하며 조직 슬림화를 추진하고 있다. SK그룹은 인공지능(AI) 투자와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리밸런싱에 나서면서 계열사들의 구조 조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SK텔레콤은 퇴직을 결정한 직원에게 최대 3억원의 퇴직 격려금을 지급하는 '넥스트 커리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는 5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2년간 유급휴직을 제공한 후 복직 또는 퇴직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기존의 퇴직 격려금이 5000만원이었던 것에 비해 큰 폭으로 인상된 것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넥스트 커리어 프로그램은 희망퇴직과는 무관하며, 퇴직 후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직원들을 위한 제도"라고 밝혔다. 이는 AI 사업을 포함한 미래 성장동력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하면서도, 비용 절감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결정으로 풀이된다. 앞서 SK그룹 최태원 회장은 AI 사업에 82조원을 투자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SK온은 지난해 11월 이전 입사자를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으며, 신청자에게 연봉의 50%와 단기 인센티브를 지급할 계획이다. 또한, 무급휴직 기간 동안 학위 과정에 진학할 경우 2년간 학비의 50%를 지원하고, 복직 시 나머지 50%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SK온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로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자구책"이라고 설명했다. SK온은 2021년 출범 이후 첫 희망퇴직 및 무급휴직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연내 손익분기점(BEP)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온은 전기차 시장의 수요 둔화와 헝가리 신규 공장 가동으로 인한 초기 비용 증가로 2분기 4601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11분기 연속 적자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SK온은 비상 경영 체제를 선언하고 임원 연봉 동결 및 복리후생 축소 등의 조치를 취했다.
BEP 달성을 위해 SK온은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납품할 배터리 생산량을 증대할 계획이다. 미국 조지아주 2공장에서 현대차 배터리 양산을 시작하면서 생산량을 늘리고 있으며, 내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현대차와의 합작 공장 건설도 진행 중이다. 다만,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인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투자 축소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SK그룹은 오는 11월 사장단 인사와 함께 주력 사업의 대대적 재편을 준비 중이다. 특히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통합법인이 출범할 예정이며, 에너지 분야에서 100조 원 규모의 대형 기업이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SK넥실리스는 지난 5월 전 직원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했으며, SK네트웍스는 SK렌터카를 매각하는 등 조직 슬림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증권가는 SK그룹의 리밸런싱이 자산 매각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계획대로 자산 매각이 완료되면 SK그룹과 계열사들의 현금 유입이 증가해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