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최보윤 의원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전문의 수 격차가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어 지방 의료 붕괴를 막기 위한 긴급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보윤 의원(국민의힘)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시도별 전문의 인력 현황(2019~2024.7)’에 따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전문의 수 차이가 해마다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의 전문의 수는 2019년 4만5633명에서 2024년 7월 5만4256명으로 9561명이 증가했다. 반면, 비수도권의 전문의 수는 같은 기간 4만489명에서 4만3427명으로 2938명 증가에 그쳤다.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의 전문의 증가 폭이 현저히 낮은 것이다.
세부적으로 수도권 내 지역별 전문의 증가 현황을 보면, 서울이 3932명, 경기가 3933명, 인천이 761명 증가해 수도권에 전문의 인력이 집중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부산이 696명, 대구가 586명, 광주가 233명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나머지 지역은 그보다도 낮은 증가세를 보였다.
전문과목별로도 수도권 집중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내과의 경우, 수도권에서 1811명이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902명 증가에 그쳐, 수도권 증가폭이 비수도권보다 두 배 이상 컸다. 정형외과, 소아청소년과, 비뇨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등 주요 진료 과목에서도 유사한 양상이 확인됐다.
최보윤 의원은 "수도권에 전문의가 지나치게 편중되고 있어, 이대로라면 장기적으로 지역 간 의료 서비스 격차가 심화될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한 "지방의료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지역 간 의료 인력 격차를 줄이고 균형 잡힌 의료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모든 국민이 거주 지역에 상관없이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지역 의료 서비스의 불균형은 의료 인프라와 의료 인력의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어, 지방의 의료체계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정부와 국회의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